吾超 황안웅 선생의 말과 글 (7)
2008. 1. 28 (월) 영남일보
耳 (귀 이 : 소리를 모으는 귀바퀴와 소리가 들어가는 귀구멍의 모양)
눈을 감독관(監督官)이라 하듯 귀는 모든 정보를 모아 듣는 감각기관으로 '채청관(採聽官)'이라 한다.
귀바퀴가 일단 소리를 모아 귀구멍으로 소리를 들여보낸다. 그러면 그 소리는 뇌까지 전달되고,
뇌는 심장을 통하여 좋고 나쁜 느낌을 받는다.
그래서 흔히 부끄러움을 느끼게 되면 급기야 얼굴이 붉어진다.
어떤 이는 자신의 부끄러움을 감추기 못해 얼굴이 붉으락푸르락해진다.
왜냐하면 애써 숨기려던 사실이 불거지게 되면 얼굴이 붉어지는 것이니 사실 ‘불거지다’는 말과
‘붉다’는 말은 서로 상통되는 말이다.
소나 돼지 같은 짐승은 스스로 부끄러움을 느낄 줄 모른다.
오직 사람만이 외부의 소리를 귀로 듣고 스스로 부끄러움을 느낄 줄 안다.
그 까닭은 사람만이 양심의 가책을 일으켜 도덕적 갈등을 하고, 급기야는 바람직한 자기 선택을 통해
도덕적 성숙을 이룰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런 맥락에서 귀(耳)와 심장(心)을 맛 붙여 ‘恥’(부끄러울 치)자를 만들어 써온 것이다.
일찍이 관자(管子)도 “하늘이 만물을 덮고 있는 것은 마치 눈으로 헤아릴 수조차 없는 넓은 천막이
쳐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 천막은 네 모서리(동서남북)를 매어놓은 줄이 있기로 가능한 것이다.
이같이 인간에 있어서의 네 가지 줄(四維)은 곧 예의염치(禮義廉恥)인 것이다.”<관자>고 하였다.
사람과 사람이 서로 더불어 살아가자면
첫째, 서로가 지켜야 할 도리로서의 ‘예’(禮;예도 예)가 있어야 한다
둘째, 옳은 것과 그른 것을 구분하여 그른 것을 과감히 물리치고 옳은 것을 향해 나아가는
'義'(옳을 의)가 있어야 한다.
셋째, 남의 것과 내 것을 구별할 줄 아는 ‘廉’(청렴할 렴)이 있어야 한다.
넷째, 무례를 범했거나 불의를 저질렀거나 청렴을 어겼을 때에는 반드시 스스로 부끄러움을 느낄 줄 아는
‘恥’(부끄러울 치)가 있어야 한다.
직접 눈으로 보고도 아무렇지도 않은 듯 눈만 끔적끔적 하는 이는 자신을 크게 속이는 사람이다.
그런데 귀로 듣고도 못들은 체하는 사람은 더 이상 어찌 해 볼 수 없는 사람이다.
'말과 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9) 首 (머리 수) (0) | 2008.01.21 |
---|---|
(8) 鼻 (코 비) (0) | 2008.01.21 |
(6) 目 (눈 목) (0) | 2008.01.19 |
(5) 身 (몸신) (0) | 2008.01.17 |
(4) 仁 (어질 인) (0) | 2008.0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