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 3. 24 (월) 영남일보
骨 (뼈 골 ; 뼈에 살이 붙은 모양 )
‘骨’(뼈 골)은 몸의 형태를 고정화시키고 있는 중심체로
뼈의 모양과 뼈 속의 골수와 나아가 살로 덥혀져 있는 모양을 본 뜬 글자다.
‘體’(몸 체)라는 글자가 보여주듯 우리의 몸은 뼈를 중심으로 풍성한 살이 감싸고 있음을 잘 드러낸 글자다.
이런 점에서 사람은 뼈가 발달한 골상(骨相)과 살이 풍부한 육상(肉相)으로 나눠 볼 수 있다.
그러나 살이 풍부한 것 보다는 뼈가 튼튼한 편이 훨씬 좋기 때문에 육상보다는 골상을 더욱 건강한 상으로 여긴다.
봄이 되어 나무에 수액이 한참 오를 때쯤이면 너나없이 산으로 찾아가 고로쇠나무 물을 마신다.
본디 고로쇠나무란 골리수(骨利水)나무로 그 나무속에서 채취한 액이 골수(骨髓:뼈 속의 액)를 도와
뼈를 튼튼하게 해 준다고 즐겨 마시는 것이다.
즉 혀가 촉촉하면 살맛이 난다. 그래서 ‘活’(살 활)이라 하였듯이
단단한 뼈도 촉촉한 골수가 분비되어야 부드럽게 살아갈 수 있다. 이런 점에서 ‘滑’(부드러울 활)이라 하였다.
그렇다면 양(陽)인 뼈와 음(陰)인 살이 합쳐 몸(모임)이 되었다고 하지만
이는 몸이 차지하고 있는 공간적인 질적 측면만을 말한 것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몸의 기능적 측면을 보면 지(地)․ 수(水)․ 화(化)․ 풍(風) 네 가지로 나눠 볼 수 있다.
첫째, 근골과 기육은 땅에 속하고 둘째, 정혈과 진액은 물에 속하고
셋째, 호흡과 체온은 불에 속하고 넷째, 영명한 활동은 바람에 속한다.
따라서 옛 선인들도 말하기를 “바람이 그치면 기운이 끊기고, 불이 꺼지면 몸이 차가워지고,
물이 마르면 피가 말라 버리고, 흙이 흩어지면 몸이 찢어진다.”
(風止則氣絶, 火滅則身冷, 水竭則血枯, 土散則身裂)<동의보감>고 하였다.
덧붙여 말하기를 “땅이 성하면 뼈가 금과 같고, 물이 성하면 정이 옥과 같고, 불이 성하면 기운이 구름과 같고,
바람이 성하면 지혜가 신과 같다.”(地盛則骨如金, 水旺則精如玉, 火熾則氣如雲, 風盛則智如神)고 하였다.
뼈와 살이 성해야 건강하고 삶이 부드럽다.
'말과 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25) 肉 (고기 육) (0) | 2008.04.29 |
---|---|
(24) 歺 (뼈 발라낼 알) (0) | 2008.04.25 |
(22) 爪 (손톱 조) (0) | 2008.04.16 |
(21) 交 (사귈 교) (0) | 2008.03.30 |
(20) 尺 (자 척) (0) | 2008.03.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