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과 글

(48) 走 (달릴 주)

나무^^ 2008. 9. 19. 14:52

                                  吾超 황안웅 선생의  말과 글 (48)                                                     

                                                                                        2008. 9. 8 (월) 영남일보

            走 (달릴 주 : 두 팔과 머리를 흔들며 발로 걷는 모양)

 

 

                   두 팔을 내두르며 머리를 흔드는 모양을 나타내는'夭'(흔들 요)에 발을 나타내는'止'(발 지)를

                   위 아래로 붙여 '走'(갈 주, 달릴 주)라 했다.

                   또 '土'(흙 토)에'止'를 붙인 '走'(한갓 도)는 맨 땅을 아무런 장치도 없이 그냥 걸어 간다는 뜻으로도 썼다.

                   달린다는 뜻으로 쓸 때는 주행(走行), 가는 것과 달리는 것을 합성시켜서는 행주(行走)라고도 쓴다.

                   전자는 가기는 가되 달리면서 간다는 말이고, 후자는 간다는 것을 앞세우고 달린다는 것을 뒤에 쓴 것으로

                  '行'과'走'를 구분지어 합성시킨 말이다.

                   잘 달리려면 몸을 굽혔다 번뜩 일어나야 하므로'起'(일어날 기)는 굽힘(己)을 붙여 만든 글자이고,

                   목숨을 지닌 모든 생명체는 본능적으로 먹이를 보면 그것을 향해 달리게 마련이기 때문에

                  '芻'(꼴 추)를 붙여'趨'(달릴 추)라 했다.

                   생육신 중의 한 분이었던 매월당 김시습은 갖은 고난 속에서도 끝까지 절의를 지킨 의인으로도 유명하나,

                   주유천하하면서 숱한 일화를 남긴 기인으로도 유명하다.

                   어느 날 사찰에서 매월당에게 법문을 요청해 어쩔 수 없이 그 간청을 들어 줄 수밖에 없게 되자,

                   그는 잔뜩 굶은 힘센 황소 한 마리와 그 소를 단단히 맬 수 있는 말뚝과 풀 한 무더기를 준비해 달라고 했다.

                   법회가 시작되자 구름처럼 모여든 청중들은 매월당의 일거수일투족에 온 시선을 집중시켜

                   잔뜩 긴장된 분위기가 조성되었다. 그러자 그는 말뚝을 단단히 박고 소를 야무지게 붙들어 매라고 한 뒤,

                   그 소가 닿지 않는 적당한 곳에 풀 더미를 쌓아 두라고 했다.

                   이에 잔뜩 굶은 황소는 제 목이 달아날 정도로 머리를 꼴 쌓아 둔 곳으로 향해 줄달음질치려 했다.

                   한참 동안 이런 광경이 지나자 청중을 향해 그는 "내 법문은 끝났다"고 했다.

                  '趨'자를 골자로 한 행위치고는 참으로 꼴불견스러운 세상을 풍자한 일이다. 
  

'말과 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50) 步 (걸음 보)  (0) 2008.10.08
(49) 正 (바를 정)  (0) 2008.10.03
(46) 止 (그칠 지)  (0) 2008.08.26
(45) 母 (어미 모)  (0) 2008.08.25
(44) 女 (계집 녀)  (0) 2008.08.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