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과 글

(50) 步 (걸음 보)

나무^^ 2008. 10. 8. 19:31

                               吾超 황안웅 선생의  말과 글 (50)                                                     

                                                                                        2008. 9. 29 (월)  영남일보 

                 (걸음 보 : 발과 발 사이의 걸음)

 

 

                        앞발과 뒷발과의 사이를 한 걸음이라 하기 때문에 '걸음'을 나타내는 글자는

                        자연히 '止'(발 지)를 위 아래로 짝지어 '步'(걸음 보)라 했다.

                        그러나 '가다'는 뜻을 지닌 글자 즉 ' '(걸을 척)에 '止'자를 '步'와는 달리 그대로 붙인

                       '徙'(옮길 사)는 몸을 비롯한 모든 자리를 옮긴다는 뜻에서 '이사(移徙)하다'고 말할 때 썼다.

                        단순히 몸만 걷는 것이 아니라 몸과 더불어 물건까지 옮겨 가는 것은 곧 '몸과 물건이 더불어 가다'는 말로

                        중복성이 있기 때문에 '가다'는 글자가 세 겹으로 합성된 것이다.

                        옛 고사에 '徙木之信(사목지신)'이라는 말이 있다.

                        진나라 때의 재상 상앙(商)이라는 자가 법령을 개정하려 할 때

                        서울 남문에 세 길이나 되는 큰 나무를 세워두고, 이것을 북문까지 옮기는 사람에게 오십금(五十金)의

                        상을 준다는 소문을 내었다. 그리고 이를 옮기는 사람이 있었으므로 약속대로 상을 주어,

                        법령 시행에 대한 믿음을 얻었다는 말이다. 참으로 지도자가 귀 담아 들어야 할 좋은 이야기이다.

                        어떤 이가 공자에게 말하기를 "집을 옮기면서 그 아내를 잊어버린 자가 있습니다.

                       (人有好忘者, 徙宅而忘其妻)"라고 하자, 공자는 "그런 자 보다도 더욱 심한 사람이 있습니다.

                        나라를 망친 걸(桀)이나 주(紂)는 자신까지도 잊었던 사람들이지요.(又有甚者, 桀紂乃忘其身)" (자치통감)

                        라고 했다. 세상에는 '가야할 일'과 아무리 가고 싶어도 '가지 말아야 할 일'이 있고,

                        반드시 옮겨야 할 것이 있고, 옮기지 말고 고스란히 지켜내야 할 것도 없지 않아 있는 것이다.

                        흔히 '옛 것을 법 삼아 새 것을 열어간다(法古創新)'고 말은 쉽사리 하지만

                        과연 새 것에만 집착하여 옛 것을 도외시하지 않는지 힘써 살펴야 할 필요가 있다.

                        왜냐하면 크게 자리 잡은 뿔이 길고도 날카롭게 자랄 수 있듯 첨단의 첨(尖)도 '大'위에 날카로운 '小'가

                        가능한 것이기 때문이다.

 

 

'말과 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52) 걸을 척  (0) 2008.10.16
(51) 足 (다리 족)  (0) 2008.10.13
(49) 正 (바를 정)  (0) 2008.10.03
(48) 走 (달릴 주)  (0) 2008.09.19
(46) 止 (그칠 지)  (0) 2008.08.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