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과 글

(59) 小 (작을 소)

나무^^ 2008. 12. 11. 14:25

                                   吾超 황안웅 선생의  말과 글 (59)                                                     

                                                                                        2008. 12. 1 (월) 영남일보

               小 (작을 소 : 좌우 양쪽으로 나눠 작다는 뜻)

 

 

                   어떤 물건이 가운데를 중심으로 좌우 양쪽(八)으로 나누어 졌음을 '小'(작을 소)라 하고,

                   이를 "물건이 미세해진 것을 말한다."(物之微也)고 했다.

 

                   예를 들어 비록 산이 엄청나게 높다고 치자. 

                   그 산이 오래도록 높이 솟아 있을 수 있는 까닭은 우선 단순히 흙더미로만 이뤄진 것이 아니라,

                   흙속에 단단한 바위가 버티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산봉우리가 단순히 한 가닥으로만 우뚝 솟아 있는 것이 아니라,

                   대부분의 경우 산을 에워 두르고 있는 언덕이 높은 봉우리를 받들고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산중턱에 꽉 박혀 산의 흙(살점)을 내리지 못하도록 막고 있는 큰 바위를 '巖'(큰 바위 암)이라 하고,

                   봉우리를 받들다가 마침내 골짜기로 굴러 떨어져 있는 바위를 '岩'(바위 암)이라 하니

                   알고 보면 바위도 그 급수가 있다.

                   그러나 아무리 단단한 바윗덩이 일지라도 풍화작용으로 그 육중한 덩이가 부서지게 되면

                   골짜기에 흐르는 물밑에서 구르는 '石'(돌석)이 될 수밖에 없기로,

                  '厂'(언덕 한)으로 굴러 떨어져 물 흐르는대로 돌돌거리며 돌 수밖에 없어 '돌'은 어디까지나 '돌'이다.

                  
                  '돌'도 돌 나름이다. 큰 돌과 조약돌이 그것이다.

                   그러나크고 작고 간에 어찌 되었던 돌은 다시 이리저리 구르다가 끝에 가서는

                   돌(石)보다 더욱 작은(少) 부스러기가 되어 '砂'(모래)가 되고야 말 뿐이다.

                   이런 면에서 '小'보다는 '少'가 더욱 작은 것을 뜻한다.

                   어찌 '모래'라고 다 같을 수 있겠는가?

                   산에서부터 부서져 내려와 물을 타고 내려가다 냇가의 양 언덕에 밀려났거나

                   강 하류에 모래톱을 이룬 모래는 '砂'(강모래 사),

                   이보다 더 작아 바다까지 갔다가 밀물에 밀려와 모래 마당을 이룬 그 고운 모래는 '沙'(바닷모래 사)라 한다.

                   바닷물에 더욱 씻긴 모래가 강모래보다 더욱 고울 수밖에 없다.

 

 

 

'말과 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61) 示 (보일 시)  (0) 2008.12.26
(60) 上 (위상)  (0) 2008.12.23
(58) l (뚫을 곤)  (0) 2008.12.11
(57) 疋 (발 소)  (0) 2008.11.29
(56) 是 (바를 시)  (0) 2008.1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