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과 글

(65) 玉 (구슬 옥)

나무^^ 2009. 1. 19. 16:29
                               吾超 황안웅 선생의  말과 글 (65)                                                     

                                                                                        2009. 1. 12 (월) 영남일보

                   玉 (구슬 옥 : 구슬 셋을 꿴 모양)

 

 

                       속담에 '구슬이 서 말이라도 꿰어야 보배'라는 말이 있듯이

                       세 알의 구슬을 꿰어 구슬을 구슬답게 만들어 놓으면 그 구슬은 돌과는 전혀 다른 구슬인지라,

                       어둠속에서도 빛난다는 뜻에서 '丶'까지 붙여 '玉'(구슬 옥)이라 했다.

                       금과 옥은 서로 그 값어치를 두고 자웅을 다투지만 금과 옥이 나오는 바탕은 서로 다르다.

                      "흙에서 뭉쳐진 정이 금이라면 돌에서 나온 아름다움이 옥이다."(土之精金, 石之美玉)라고 하여

                       흔히 '정금미옥'(精金美玉)이라 한다. 

                       흙으로 빚은 '토기'나 돌을 깎거나 갈아서 만든 '석기'를 쓰다가

                       어떻게 하면 부드러운 흙을 반죽해 단단한 '돌그릇', 그 중에서도 아름다운 돌그릇(옥그릇)을

                       만들 수 있을까 하는 궁리 끝에 얻어진 성과가 곧 '도자기'라 한다.

                       금도 좋아 했으나 옥 또한 크게 좋아했다는 하나의 좋은 증거이다.

 

                       옥을 부러워했던 까닭은 어디에 있었을까?

                       한 실례로 "옥에 다섯 가지 덕이 있다"(石之美有五德)(설문해자)는 설을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윤택하게 빛나되 따스한 빛을 내니 어진 덕이 있음이요(潤澤以溫 仁之方也),

                      둘째 밖으로부터 뿔 심을 따르다 보면 가운데를 알 수 있으니 의로운 덕이 음이요(理自外 可以知中 義之方也),

                      셋째 그 소리가 잘 펴져 나가되 오직 널리 들리니 지혜로운 덕이 있음이요(其聲舒揚 專以遠聞 智之方也),

                      넷째 휘어지거나 꺾어지지 아니하니 용감한 덕이 있음이요(不橈而折 勇之方也),

                      다섯째 날카롭고도 깨끗하나 다른 것을 해치지 아니하니 깨끗한 덕이 있음이다(銳廉而不 潔之方也)."

                      금은 제 스스로 빛을 발하는 태양이라면, 옥은 어둠속에서 그 어둠을 은은한 빛으로 물리치는 밝은 달에

                      견줄 수 있다. 흔히 금지옥엽(金枝玉葉)이라 말하듯 금을 가지라 치면 옥은 그 가지에 매달린 잎이다.

                      그러나 스스로 빛을 내는 발광체보다는 빛을 되받아 비춰주는 전사체가 오히려 좋고

                      쟁쟁(錚錚)한 금속성 보다는 당당( )한 옥구슬 구르는 소리가 더욱 편안하고,

                      지나치게 뜨거운 정열보다는 약간은 차가운 듯 은은한 달빛이 우리네 정서에 더욱 친근하다 하리라.

                      한 때에 자공이 공자에게 묻기를 "가난하면서도 아첨하지 않고, 부유하면서도 교만함이 없다면

                      어떻겠습니까?" 하자, 답하시기를 "괜찮기는 하나 가난하면서도 도를 즐기고,

                      부유하면서도 예를 좋아함만 못하다"라 했다.
                      그러자 자공이 말하기를 "시에 '끊은 것같고, 간 것같고, 쪼은 것같고, 닦은 것 같다'(如切如磋 如琢如磨)고

                      한 것이 이 말씀을 두고 한 것이리다"라 했다.

 

                      그렇다. 옥도 끊고 갈고 쪼고 닦아야 온전한 옥이 되듯 사람도 이같이 하지 않으면

                      바람직한 그릇이 될 수 없다. 그래서 "옥을 쪼지 아니하면 그릇을 지을 수 없고

                      사람은 배우지 아니하면 도를 알 수 없다"(玉不琢 不成器 人不學 不知道)(禮記 學記)라 하지 않았던가?

'말과 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67) 士 (선비사)  (0) 2009.03.03
(66) 氣 (기운 기)  (0) 2009.01.31
(64) 王 (임금 왕)  (0) 2009.01.14
(63) 三 (석 삼)  (0) 2009.01.05
(62) 一 (한 일)  (0) 2008.12.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