吾超 황안웅 선생의 말과 글
사람들이 옷을 입기 시작한 것은 수렵생활부터 비롯되었을 것이며 이 때의 옷은 짐승에게서 얻어낸
가죽으로 옷을 지어 입었을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하지만 꼭 그런 것만은 아닐 것이다.
옷을 입는 실제 이유는 춥고 더운 자연 환경 속에서 몸을 보호하려는 것이다.
그래서 추운 북방에서는 짐승의 가죽으로 지은 옷이었을 수 있지만, 더운 환경 속에서 살아가는
남방에서는 가죽보다도 오히려 뜨거운 햇볕을 가리는 나뭇잎으로 몸을 가리는 정도였을 것이다.
따라서 옷은 기후와 밀접한 관계를 지니며 발전에 발전을 거듭해 왔을 것은 틀림없다.
그런데 추위를 가리려는 뜻이 더 큰 것이었기 때문에 남방에서보다는 추운 북방에서 더 절실했을 것이다.
이런 뜻에서 ‘상고시대에는 옷이 없었으므로 나뭇잎이나 짐승의 가죽을 취하여 몸을 가렸는데,
황제가 관면이나 의상을 만들어 보기에 엄숙하게 하였고, 신분의 등위를 구별토록 하였으니
이것이 곧 의상의 비롯이다(上古無衣裳, 取木葉皮革以蔽體, 黃帝爲冠冕衣裳, 以肅觀瞻, 以別等威, 爲衣裳之始)’
(천자문주해) 라는 풀이는 시사하는 바가 매우 크다.
그리고 옷을 처음으로 만들어 낸 이는 바로 황제의 딸이라고 전해오는'호조(胡曹)'라는 구체적인 이름이
‘여람’ 물궁편에 나타나 있다. 그러니 추측컨대 ‘호조’라는 이름 자체도 황제의 딸로서 모계사회에 있어서
북방의 어떤 지역을 맡아 다스리던 지도자의 이름이라 여겨진다.
어쨌든 간에 나뭇잎과 가죽 등 옷의 재료는 그 실용적 가치로나 삶의 형태에 따라 점차 변화를 거듭하면서
자연히 식물성 섬유로 발전되어질 수밖에 없었다. 그 첫 머리에 등장한 것이 바로 ‘삼’에서 벗겨낸 것이다.
옷의 주요 재료의 하나인 ‘삼’은 우선 그 키가 아주 높은 다년생 식물로 이것이 밭이나 들에서 자라나 있을 때에는
‘ ’(삼꽃 파)라 하고, 실용에 쓰는 삼대를 일컬어 ‘ ’(모시풀 시)라 하며, 이 풀의 줄기에서 손을 써 벗겨낸 섬유를
‘麻’(삼실 마)라 하였다.
즉 들이나 밭에 있을 때에는 화초처럼 제법 보기 좋은 풀이며, 이것의 실용성은 의생활에 없어서는 안 되는
생명의 초목이라는 말이다. 나아가 가공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섬유는 헛간에 부려 두고 여러 차례 벗겨내야 하는
공정을 거쳐야 비로소 얻어지는 것이 곧 ‘麻’라는 말이다.
또 본디 키 큰 다년생 식물이기 때문에 ‘麻’라는 뜻에는 ‘크다’는 뜻과 아주 ‘가늘다’는 뜻이 그 자체에 들어 있다.
그래서 ‘麻’에 ‘鬼’(귀신 귀)를 붙이면 귀신 중에서도 가장 큰 귀신을 뜻하는 글자가 되고,
‘手’(손 수)를 붙이면 남들 손보다 훨씬 큰 손이라는 뜻에서 남의 것을 빼앗는 손을 뜻하는 부정적인 의미가 있다.
그런가 하면 같은 ‘麻’에 ‘石’(돌 석)을 붙여두면 어떤 물건을 사나운 숫돌에 계속해 문질러 곱게 갈다는 뜻에서
‘磨’(갈 마)가 된다. 옛 말씀에 “먹을 갈 때에는 병든 사람이 힘없이 갈 듯하고 붓을 쥘 때에는 장사가 결판을 낼 듯
힘껏 쥐어야 한다(磨墨如病夫, 把筆如壯士)”라고 하였다.
그러므로 힘없이 할 것과 힘들여 할 것을 구분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