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작 권비영 제작·기획 김원국
감독 허진호 (2016년. 127)
출연 손혜진, 박해일, 윤제문, 라미란 외 다수
영화관에서 보지 못했던 영화를 TV 지미에서 무료로 보았다.
감추어졌던 대한제국의 마지막 황녀 덕혜옹주는 환갑이 넘은 고종의 늦둥이 고명딸로 태어나 사랑을 받았지만 어린 나이에 독살되는 아버지의 죽음을 목도하며 충격을 받는다. 1919년 고종황제의 장례식은 일제의 주도 아래 일본식으로 치뤄졌다.
1925년 창덕궁 관물현에서 김장한과 만나 피아노를 치는 고운 모습의 덕혜옹주...
일제는 이완용의 수하인 친일파 한택수로 하여금 13세의 어린 공주를 강제로 일본 유학길에 오르게 한다. 한번은 일본옷을 거절하고 입지 않았지만 유모를 떼어놓겠다는 말에 일본옷을 입고 궁을 떠날 때 궁녀들이 통곡하는 장면은 많이 슬프다.
고국땅을 그리워하며 살아가는 덕혜옹주 앞에 어린시절 고종이 혼인시키려고 했던 김장한이 일본 육군학교 장교가 되어 나타난다. 그가 사실은 뒤에서 독립군을 도와준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사실과 허구가 적절히 혼합된 내용이라고 한다.
그러던 중 영친왕 망명작전에 휘말리어 간신히 탈출하지만 장한은 총을 맞고 그녀는 결국 한택수에게 붙잡혀 가 고립된다.
실제 영친왕은 일제의 대접을 받으며 일본여자와 결혼도 하고 유럽으로 골프여행도 갔다고 하니 주어진 상황에 순응하며 산 평범한 사람이지 왕족이라 하기는 어렵겠다. 사실 왕족이란 얼마나 약한 존재들인가, 질긴 잡초 같은 백성들에 비하면...
영화는 김장한이 나이들어 신문기자가 되어 덕혜옹주를 귀국시키려고 하는 시간을 오가며 짜여진다.
모친 양귀인과 편지 연락조차 두절되어 귀국하려고 하지만 일제는 그녀를 보내지 않는다. 결국 사망소식을 듣고만다.
일본인과 정략결혼까지 시켜 딸을 낳았지만 그녀의 우울 증세는 깊어간다.
천왕의 항복소식을 듣고 딸을 데리고 귀국하려고 애써 배를 타려 하지만 이승만 대한제국은 그녀의 귀국을 허락하지 않아 제외되자 그녀는 기가 막혀 바닥에 쓰러져 오열하다 정신 이상증세를 보인다. 끝내 고국에 가는 대신 이혼하고 정신병원에 버려져 피폐해져간다. 다행히 장한은 탈출하다 총을 맞고 죽는 줄 알았지만 목숨을 구했다.
다리를 저는 장한이 그녀를 수소문해서 찾아가 귀국할 수 있도록 언론에 실음으로 그녀는 20년 만에 다시 한국땅을 밟을 수 있게 되었다.
총명했던 왕족의 마지막 여인이 한택수라는 친일파 놈에게 희생되는 뼈아픈 역사를 그린 이 영화를 보면서 눈물이 났다.
대원군과 명성황후의 권력 다툼으로 외세를 끌여들이고 결국은 일제의 식민지가 되어 수많은 독립투사들이 목숨을 잃고 백성이 36년간이나 노예살이를 한 치욕을 어찌 잊을 수 있겠는가!
그런데 그 와중에 친일하며 잘 산 인간들이 있어 그때가 더 좋았다고 말하는 정치인이 있는가 하면 대통령은 나서서 아예 심한 친일정책으로 국민의 염장을 지른다. 그의 아버지가 제 1호 일본 장학금으로 공부한 유학생이라니 그의 입장에서는 일본이 고맙기도 하겠다.
우리 국민은 절대 잊어서는 안 된다. 지금의 민주주의 나라가 되기까지 얼마나 많은 희생을 치루었는지...